IT 5분 잡학사전
#북클럽 #TIL #노마드코더스 #노마드북클럽 #노개북
노마드북클럽 - IT 5분 잡학사전
(Day 8은 퀴즈)
Day 9 - TIL
2023.01.21
Episode 26 ~ Episode 29 (p.154 ~ p.178)
-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?
- 스택, 큐가 뭐죠?
- 해시 테이블이 뭐죠?
- 개발자 필수 소양, 클린 코드
기억하고 싶은 내용들
- 왼쪽, 오른쪽만 보면서 정렬하는 버블 정렬(시간 복잡도 O(N2))
- 하나를 콕 집어 가며 정렬하는 선택 정렬(시간 복잡도 O(N2), 그러나 버블 정렬보다 효율적이다. 왜냐하면 자리를 바꾸는 연산은 사이클당 1번이니까)
- 앞에 있는 데이터를 보면서 배치하는 삽입 정렬(시간 복잡도 O(N2))
- 스택은 위에서 데이터를 쌓고 위에서부터 데이터를 뺀다(LIFO), 큐는 위로 데이터를 쌓고 아래에서부터 데이터를 뺀다(FIFO).
- 해시 테이블은 사전과 같은 것, 검색의 시간 복잡도는 O(1)이다. 해시 테이블 속도의 비결은 해시 함수.
- 클린 코드란 설명이 필요 없는 코드이다. 코드를 읽기만 해도 이 코드가 무슨 일을 하는지,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이해되는 코드이다.
- 의미 있는 변수/함수의 이름을 적절히 사용하라, 함수 이름은 가급적 동사로 지어라, 매개변수는 너무 많이 쓰지 마라, bool값을 인자로 보내지 마라, 축약어를 쓰지 마라.
오늘의 소감
- 명료하고 효율적인 코드의 중요성은 언제 어디서나 강조되는 것 같다.
- 클린 코드의 내용 중 주석에 대한 부분에 대해 반대되는 다른 의견을 읽어보니 흥미로웠다. 다양한 시각으로도 바라보고 사람들과 의견을 나눠보는 것도 굉장히 의미가 있는 것 같다.